순천하나병원 환자&보호자 대상 공개건강강좌, 박용진원장의 척추관협착증 바로알기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보건복지부지정 관절전문병원 순천하나병원입니다.
저희 병원에서는 2달에 한 번
환자&보호자 대상 공개건강강좌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이번 달에는 척추전문 박용진원장께서
"척추관협착증 바로알기"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해주셨답니다.
척추관 협착증이란?
척추 주변 근육 및 인대가 퇴행성 변화로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통증과 이상증상을 느끼는 질환입니다.
박용진원장께서는
척추협착증을 수도관에 비유해서
아주 쉽게 설명을 해주셨답니다.
수도관이 오래되면 물이 제대로
흐르지 못하듯, 신경이 지나가는 관이 좁아지면
이상증상을 느끼게 되겠죠?
척추관 협착증의 주요 증상
▶ 허리, 다리 통증
▶ 엉덩이 부위가 저리고 당기는 증상
▶ 허리를 뒤로 젖힐때 심해지는 통증
▶ 저녁에 잘 때 통증
▶ 걷다보면 다리가 아파서 쉬어야 한다.
허리통증이 없더라도
엉덩이, 다리 쪽으로 저리고 당기는
통증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척추신경이 다리까지 연결되어 있어
그렇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척추관 협착증은 왜 생길까요?
▶ 선천적으로 척추관이 좁은 경우
▶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
▶ 잘못된 자세로 인해 생긴다고 합니다.
특히 외래 진료를 보다보면
많은 분들이 밭을 가지고 있다고 해요ㅎㅎ
밭일을 하며 쭈그려 앉은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다 보면
협착증이 생기기도 하고
오랜 시간 운전을 하거나 앉아있는 직업을 가진 분들
역시 협착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어떻게 치료 하나요?
우선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약물치료나 도수치료를 받고
흔히 어르신들이 뼈주사라고 예기하는
신경주사치료를 시도합니다.
수술적 치료는
미세현미경이나 내시경 하 후방 감압술,
최소침습 척추 유합술 등이 있습니다.
일단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진단도 중요합니다.
"MRI를 찍으면 무조건 수술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라고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다고 해요~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로 정밀검사 없이 x-ray만으로
여러곳에서 신경치료를 받는 경우도
적지 않게 있다고 하는데요~
x-ray는 신경이 얼마나 눌리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MRI검사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필요하고
MRI를 찍는다고 해서 반드시 수술을 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치료가 적절한지의
감별도 가능하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꼭 수술을 해야하나요?
절대 아닙니다!!
약물치료만으로 증상 호전이 있고
적절한 횟수의 신경차단술
꾸준한 운동으로 척추관리를 한다면
수술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수술을 해야하는 경우는?
▶ 10분 이상 걷기 어려울 때
▶ 허리근육이 더 약해지기 전에
▶ 척추뼈가 더 약해지기 전에
▶ 신경이 변성되기 전에
하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의 좋은점
•최소 절개로 근육이나 조직손상이 적고
•빠른 회복 ( 수술 2-3일만에도 퇴원 가능)
•40배 확대된 영상을 보고
수술하기 때문에 보다 정밀하게 수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답니다.
양방향 척추내시경 수술로
어떤 치료까지 가능하나요?
요추(허리) 척추관 협착증 및 추간판 탈출증
뿐만아니라 흉추(등) 황색인대 골화증 및
추간판 탈출증
경추(목) 추간공 협착증 및 추간판 탈출증
나사를 박는 추체간 유합술도 가능하다고 해요
건강한 척추관리
자동차가 고장나면 서비스센터에서
수리를 하게 됩니다.
의사는 고장난 부품을 교체해 주는 것이고
그 이후 자동차를 잘 관리하는 것은 환자 몫!
관리가 안되면 수리를 해도
수명이 다해 망가지게 되겠죠~
하지만 관리가 잘되면 아무리 오래된 차라도 오래도록 탈 수 있듯이 척추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허리에 안좋은 자세
밭에서 쪼그리고 앉아있는 자세나
소파에서 엉덩이를 쭉 빼고 앉는 자세는 피합니다.
서 있을때도 엉덩이를 뒤로 빼거나 굽은 등 자세는
좋지 읺다고 합니다! ( 그림 참고)
허리근육 강화운동
1. 수영을 추천한다고 합니다.
수영을 못하신다면 물속에서 걷는 것도 좋다고 해요~
2. 플랭크 자세가 좋지만
어려울 경우
3. 빠른걸음으로 30분간 걷기를 추천!
마지막으로
골다공증 관리
골다공증 관리도 중요하다고 합니다.
여성은 만 65세 이상, 남성은 만 70세 이상이면a
1년에 한번 씩 검사를 꼭 해보시고
골다공증을 너무 쉽게 생각하지 말아야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
비타민D와 칼슘제를 같이 병행하면
효과가 극대화된다고 하니
골다공증이 있는 분들도 꼭 참고하세요^^
짧은 시간이었지만
쉽고 명확한 설명으로 이해가 쏙쏙!
강의를 들으신 환자&보호자 분들도
'너무 설명을 잘 해주셔서 더 이상 물어볼것도 없다'
라고 해주셨답니다^^
이번 박용진 원장의 건강강좌가
참석하신 모든 분들께 큰 도움이 되는
시간이었길 바랍니다.
다음 강좌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다음글보건복지부지정 관절전문 순천하나병원, 석고붕대(깁스) 후 주의사항! 25.06.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