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하나병원, 무릎 골관절염 PRP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주사 치료란?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보건복지부지정 관절전문병원 순천하나병원입니다~
오늘은 무릎 골관절염 치료 중 하나인
PRP주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RP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주사란?
PRP (자가혈소판 풍부혈장 관절강내 주사)주사는
환자의 혈액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을 분리하여
손상된 조직에 직접 주입하는 치료방법입니다.
기존에는 팔꿈치 테니스엘보나 어깨 질환 치료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2024년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평가 위원회에서
최근 무릎 골관절염의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관절강내 주사가
신의료기술로 공식 승인되었다고합니다.
무릎 PRP주사 원리와 적용대상
기존 경구 약물 복용과 스테로이드 또는
히알루론산 관절강내 주사에도 호전이 없는
KL2~3등급의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입니다.
통증 완화 및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며,
자가 혈액을 이용하기 때문에 심각한 합병증이
보고되지 않아 안전성이 수용가능하다는
평가에 따른 것입니다.
이 치료법은 환자의 말초혈액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혈소판이 농축된 혈장을 분리하고,
이를 무릎 관절강 내에 주사하여 조직 재생 및
염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혈소판에는 성장인자가 다량 포함되어 있어
손상된 연골과 관절 조직의 회복을 돕고,
염증을 줄이며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시술시간도 30분 이내로 짧아 항응고제 사용이
불필요하며 감염 위험을 최소화 하고
보다 높은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무릎 PRP주사 치료 과정
1. 먼저 환자로부터 15mL의 혈액을 채취합니다.
2. 채혈한 혈액을 5~10분간
원심분리하여 PRP를 분리한 후
3. 전용 주사기를 이용해 추출합니다.
4. 해당 질환 부위에 PRP를 주입합니다.
PRP주사 간격과 부작용은?
PRP주사의 시술 간격은 환자의 상태와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 2주 간격으로 3회정도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심각한 합병증이 보고되지 않은 치료로
부작용 발생 위험이 낮은 편입니다.
시술 후 일시적으로 주사 부위에 통증과 부기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며칠 내에 사라집니다.
무릎 골관절염은 생활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는
질환이지만, PRP주사는 수술 없이 통증을 완화하고
조직을 회복시키는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입니다.
기존 치료법으로 효과를 보지 못한 경우라면
반드시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통해 PRP주사에 대해
고려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본 포스팅은 의료광고법을 준수하여
정보공유 목적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 이전글<환절기 소화기 건강관리> 순천하나병원 내과 장남수원장 KBS라디오상담실 출연 25.03.27
- 다음글순천하나병원 영상의학과 김황조원장의 직원대상 교육 주제는 <근골격계 초음파> 24.12.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