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병리실 검사항목2
페이지 정보
본문
임상화학검사
AST(Aspartate transaminase) / ALT(Alanine transaminase) | |
검사 목적 | 간질환의 진단 및 경과관찰에 유용한 검사입니다. AST와 ALT는 transaminase로 간세포에 다량 존재하기 때문에 간세포가 손상되면 증가되어 기본적인 간기능검사에 이용됩니다. ALT는 간에 주로 존재하기 때문에 간질환에 대한 특이도가 높지만 AST는 간 이외에 심장, 췌장, 신장, 적혈구 중에도 있어 간질환에 대한 특이도는 ALT 보다 적습니다. |
관련 질환 | AST 증가 : 심근경색(발작 24시간 후 최고치), 간경변 초기용혈 ALT 증가 : 만성간염, 급성진행성 간염, 지방간, 간장애 |
Gamma-GT | |
검사 목적 | 세포막에 있는 효소로 간의 담과, 신세뇨관, 뇌, 전립선, 췌장 등에 분포, 담즙 울체, 알코올성 간염, 약제성간장애 진단 및 경과 관찰에 유용한 검사입니다. 통상적으로 " 알코올성 간질환" 의심환자에게 검사를 많이 합니다. |
관련 질환 | Gamma-GT 증가 : 폐쇄성황달, 간암, 만성간염, 급성간염, 간경변, 간세포암, 과영양성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약물성간질환, 항경련제 투여 시 |
ALP(Alkaline Phosphatase) | |
검사 목적 | 간, 담도, 신장, 뼈, 태반 등에 존재하며 간, 담도계 질환 및 골질환, 장질환, 부갑상선 질환 진단에 이용됩니다. |
관련 질환 | ALP 증가 : 간질환(간경변, 간세포암, 만성감염), 골질환(골종양), 담도계질환, 부갑상선기능항진증, 만성신부전, 항간질약물 투여 시, 각종 약물성 간장애 ALP 감소 : 선천성 Hypophosphatasia, 갑상선기능저하증, 악성빈혈, 괴혈병, 에스트로겐 투여받는 폐경기 여자, 영양결핍, 항응고제 사용 |
총빌리루빈(Bilirubin, Total) | |
검사 목적 | 혈색소의 heme이 대사되어 생간되고 담즙이나 요로 배설됩니다. 활달의 감별진단과 경과 관찰에 이용됩니다. |
관련 질환 | Bilirubin 증가 : 간질환, 폐쇄성황달, 용혈성 빈혈, Gilbert syndrome 등 Bilirubin 감소 : 소구저색소성빈핼, Cachexia |
총단백(Protein Total) | |
검사 목적 | 단백이상의 스크리닝, 단백분획과 동시 측정에 의한 종합적인 병태를 파악합니다. |
관련 질환 | Protein 증가 :탈수증, 만성감염증, 다발골수종, 교원병, 원발성마크로글로불린혈증 Protein 감소 : 신증후군, 단백누출성위장증, 강경변, 영양섭취불량, 흡수불량증후군, 화상, 흉수 및 복수발생질환, 수포성피부질환 |
알부민(Albumin) | |
검사 목적 | 알부민은 혈중에 가장 많은 단백으로 간에서 생산됩니다. 중요한 영양단백으로 혈액의 각종 주요 성분과 결합하여 운반하고 혈액 삼투압의 75-80%를 담당합니다. 알부민 검사는 혈중 단백질의 양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알부민이 낮은 경우 간에서 알부민이 적게 만들어지는 것으로 간기능의 저하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관련 질환 | Albumin 증가 : 탈수증, 영양 과다, 과량 알부민 수혈 Albumin 감소 : 신증후군, 중증간질환, 영양실조, 다발골수종, 만성소모성질환 |
BUN (blood urea nitrogen 혈액 요소 질소 ) | |
검사 목적 | 혈액 요소 질소(BUN)는 혈중 요소를 측정하는 것으로, 정상인에서 요소는 주로 식이 단백질의 분해에 의한 것이 대부분입니다. 단백질의 대부분은 간에서 요소로 전환된 후 콩팥에서 사구체와 세뇨관에서의 여과 및 재흡수, 분비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소변으로 배설되는데, 이 농도를 콩팥기능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관련 질환 | BUN 증가 : 신장질환, 요로 폐쇄, 신장결핵, 만성통풍, 간경변 BUN 감소 : 임신 후반기, 신진대사 저조, 저단백식, 간부전, 요붕증 |
Creatinine | |
검사 목적 | Creatinine은 근육의 수축 energy로 creatine phosphate에서 생성된 creatine이 탈수되어 생긴 대사산물로서 신장으로 배설되는 질소성분 중 가장 배설이 잘되는 물질 중의 하나입니다. Creatinine은 신사구체에서 배설되고, 세뇨관에서 재흡수되지 않습니다. 혈중 농도는 신장의 배설기능에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신혈류량 감소, 신사구체 여과치가 감소할 경우에 증가합니다. Creatinine은 보통의 식사나 운동 등의 외적 영향을 받지 않아 거의 일정한 혈청 측정치를 유지하여 kidney glomerula에서 여과되어도 tubule에서 재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뇨중으로 배설되는 점에서 신질환에서의 serum creatinine 상승은 진단 상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
관련 질환 | Creatinine 증가 : 신장 기능 장애, 신부전, 울혈성 심부전, 말단 비대증 등 Creatinine 감소 : 임신, 근이영양증, 요붕증 등 |
Glucose(혈당) | |
검사 목적 | 당뇨병(diabetes mellitus)의 진단에 지표가 됩니다. -IDDM(인슐린 의존형)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insulin 분비 부족 -NIDDM(인슐린 비의존성) insulin 분비 β세포의 기능저하와 표적 세포의 glucose에 대한 감수성 저하가 원인 |
관련 질환 | Glucose 증가 : 일차성당뇨병(IDDM, NIDDM), 이차성당뇨병(만성췌장염, 간경변 등), Glucagonoma, 갑상선기능항진증, Cushing syndrome, 원발성알도스테론증 Glucose 감소 : 반응성 저혈당 - 덤핑증후군 공복시 저혈당 - 뇌하수체기능저하증, 저글루카곤혈증, 부신피질기능저하증, 간암, 간경변, 알코올성저혈당, Insulinoma 외인성 저혈당 - 인슐린 투여, 경구혈당하강제 투여에 의한 경우 |
Glycated albumin(당화알부민) | |
검사 목적 | 혈당치의 변동폭이 큰 당노병 환자나 albumin 농도 변동이 현저한 임산부의 혈당 조절지표로 약물요법이나 Insulin 투여를 실시하는 환자의 모니터링으로 유용. 혈액 투석을 받는 신장질환자의 혈당 지표 검사로 유용합니다. 최근 2-3주간 상태를 반영합니다. |
RA factor(정성/정량)(Rheumatoid factor,류마티스 인자) | |
검사 목적 | RA는 lgG 항체의 Fc 부분에 대한 자가항체로 RA와 lgG가 면역 복합체를 만들어 질병을 유발합니다. 만성류마티스관절염(RA)의 진단, 예후 판정, 치료 효과의 판정에 유용합니다. |
관련 질환 | RA factor 증가 : Rheumatoid arthritis, 골관절증, 통풍, 류마티스열, 경직성척추염, 고령자 일부, 교원병, 간질환, 바이러스 감염증, 악성종양, 정신분열증 |
C 반응성 단백(C-reactive protein, CRP) | |
검사 목적 | 염증의 유무 확인 및 신생아 감염증 조기진단의 지표, 급성기 반응 물질로 염증 감염 후 14-26시간 이내 간에서 생산되어 혈청에 출현하였다가 회복기에 차츰 소실됩니다. |
관련 질환 | CRP 증가 : 여러 가지 염증성질환(세균/바이러스감염증), 류마티스염, 만성류마티스관절염, 악성림프종, 화상, 외상, 급성심근경색, 외과 수술 후, 항응고제 투여 시 |
Uric Acid(요산) | |
검사 목적 | 각종 단백질에 있는 purine이 대사되어 Uric Acid를 형성. 혈액의 Uric Acid가 증가하는 경우는 육류 등 Purine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거나 신기능이 저하되어 생산된 Uric Acid를 배설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고 요산혈증을 초래한 모든 환자가 통풍 발작을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혈중 요산을 측정하는 의의는 통풍(1차적, 2차적) 진단과 함께 예방을 위한 것입니다. |
관련 질환 | Uric Acid 증가 : 일차적 통풍-특발성고뇨산증, 퓨린뉴클레오티드 대사관련 효소이상증 이차적 통풍-요산의 과잉(고퓨린식의 과잉섭취, 혈액질환, 지방대사이상 등), 요산의 배설저하(신장 실질장애,약제 등), 요로결석(요산결석) Uric Acid 합성 저하 : 크산틴뇨증, 간질화 Uric Acid 배설 항진: 특발성저뇨산증(분비항진형, 재흡수능부전형), 이차성(Fanconi syndrome, Wilson disease, 알코올중독증 등), 약제(아세트 헥시미드, 요산배설제, 조영제 등) |
Cholesterol,Total(콜레스테롤) |
|
검사 목적 |
Cholesterol은 steroid 물질로 간과 장 등 조직에서 생성(75%)되거나 흡수(25%)됩니다. Cholesterol의 50-70%는 LDL에 의하여 15-40%는 HDL에 의해 운반됩니다. 간의 합성 분비 상태(간기능), 담도 폐색, 장관의 흡수 상태, 영양상태, 지질 대사이상 동맥경화의 위험성 예측에 이용됩니다. |
관련 질환 |
Cholesterol 증가 : 원발성콜레스테롤(가족성고콜레스테롤혈증,Ⅲ형 고지혈증, 지단백리파아제결손증), 속발성고콜레스테롤혈증(신증후군, 당뇨병, 갑상선기능저하증, 간암, 폐쇄성황달) Cholesterol 감소 : 일차성저콜레스테롤혈증(알파지단백결손증, 무/저베타지단백혈증), 이차성저콜레스테롤혈증(갑상선기능항진증, Addison disease, 간세포장애 |
Triglyceride(중성지방) |
|
검사 목적 |
TG는 혈액의 VLDL과 chylomicron의 주성분으로 음식으로 섭취한 fat의 운반과 인체의 주요 에너지원의 역할을 합니다. 지질대사이상 및 Iipoprotein 대사 병태 파악을 위한 검사입니다 |
관련 질환 |
TG 증가 : 가족성 고지단백증, 당뇨, Tangier disease, LCAT결손증, 갑상선기능저하증, 뇌하수체기능저하증, Cushing syndrome, 급·만성 췌장염, 신증후군 TG 감소 : β-지단백 결핍증, 속발성지방대사이상(갑상선기능항진증, 부신피질저하증, 간경변, 말기암) |
HDL-Cholesterol | |
검사 목적 |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의 병태파악에 이용됩니다. |
관련 질환 | HDL-Cholesterol 증가 : CETP결손증, 가족성고알파지단백혈증, 원발성담즙성간경변증 HDL-Cholesterol 감소 : Tangier disease, LCAT결손증, LPL결손증, 아포지단백A-l결손증, 아포단백C-II결손증, 만성신부전, 당뇨병, 갑상선기능이상 |
Calcium | |
검사 목적 | 칼슘은 건강한 뼈를 위해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근육 수축, 심장활동, 신경계유지, 비타민 B12흡수와 정상혈액응고에 중요합니다. |
관련 질환 | Ca 증가 : 악성종양, Addison disease, 백혈병,다발골수종, 갑상선 기능항진증, 골전이암, 원발성부갑상선기능항진 Ca 감소 : Vitamin D 결핍증, 신부전증 항간질성 약물 장기간 투여 시 |
P(Phosphorus)인 |
|
검사 목적 |
Inorganic-phosphorus(인)은 모든 세포의 중요한 구성 성분이며 energy대사, 근수축,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 등에 관여한다. 골의 저장과 용출, 신장으로의 배출, 세포내의 유입방출을 평가합니다. |
관련 질환 |
P 증가 : 소아, 폐경 후, 만성신부전, 부갑상선기능저하증, vit.D 중독증, 당뇨병성신증 P 감소 : 부갑상선기능항진증, 각종 구루병 및 골연화증, 인슐린과민증, 특발성저인혈증 |
- 이전글임상병리실 검사항목3 25.09.18
- 다음글임상병리실 검사항목1 25.09.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